본문 바로가기

Gewalt

마르크스 ・엥겔스의 군비 축소론 김승국 1. 군비(軍費)에 관한 입장 마르크스 ・엥겔스는 군비(軍費)에 반대하지도 않고 찬성하지도 않는다. 어떠한 역사적 조건 아래에서 군비가 형성되는지를 문제 삼기 때문이다. 군비는 일정하게 주어진 사회적 조건 아래에서 이루어지므로 군비의 성질이 역사적인 조건에 의하여 규정되는 것은 당연하다. 마르크스 ・엥겔스는 늘 이러한 관점에서 군비 문제를 다룬다. 따라서 어떤 경우에는 군비에 찬성하고, 다른 경우에는 군비에 반대했다. 마르크스 ・엥겔스에 있어서 군비는 계급투쟁의 용구(用具)이다. 군비가 ‘어떤 계급의 용도로 쓰이느냐’는, 군비의 역사적 성질에 의하여 규정된다. 그러므로 ‘계급투쟁이 생산관계에 의하여 규정된다’는 마르크스의 이론은 군비에도 적용될 수 있다. 2. 상비군을 통한 ‘강력(强力; Gewa.. 더보기
마르크스와 비판적 평화연구가들 김승국 마르크스는 ‘폭력의 부재(不在)’로서의 평화, 부르주아지의 폭력이지양된 평화를 강조한다. 마르크스의 ‘평화’는 계급착취 ・계급차별 ・억압 ・학정(虐政) ・빈곤이 없는, 자유롭고 평등한 사회상태를 뜻한다. 마르크스에 있어서 소수의 지배계급(부르주아지)만이 평화를 향유하는 사회는 평화로운 사회가 아니다. 그는, 사회구조적인 차원에서 폭력이 근절되어 사회 ・국가에 폭력이 내재하지 않는 평화상태를 지향한다. 마르크스는 평화에 관하여 말하면서 폭력 ・전쟁 ・계급투쟁 ・혁명 등 복합적인 요소를 동시에 고려하는바, 마르크스의 평화론은 중층적(重層的)인 요소를 지니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마르크스의 이론적 ・실천적인 후계자들 중 일부는 이러한 중층적인 요소를 간과하거나, 마르크스 평화론의 다양한 심급(審.. 더보기
마르크스 평화론의 구도에 관하여 김승국 1. 혁명과 평화 평화문제에 대한 마르크스의 접근방식을 한마디로 말하면 ‘혁명에 의한 평화’이다. 마르크스의 혁명에 의한 평화론은 ‘현상유지를 위한 평화론’과 다르며, 평화 그 자체를 혁명의 목적으로 보는 ‘평화를 위한 혁명론’도 아니다. 세계평화 ・국제적 평화를 어떻게 달성할 것인지를 마르크스에 묻는다면, 그는 “세계혁명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고 대답할 것이다. {공산당 선언}은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한 개인에 의한 다른 개인의 착취가 폐지되는 것과 같은 정도로 한 국민에 의한 다른 국민의 착취도 폐지될 것이다. 한 국민 내부의 계급의 대립이 없어짐과 아울러 국민들 상호 간의 적대관계도 없어질 것이다.” 마르크스가 말하는 ‘자유인들의 연합(Verein freier Menschen)’ 자본주.. 더보기
마르크스의 폭력 개념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승국 마르크스의 폭력 개념의 핵심은, 계급투쟁에 의하여 계급차별이라는 폭력을 극복한다는 데 있다. 이처럼 ‘폭력이 폭력을 극복할 수 있다’, 즉 ‘프롤레타리아트의 Gewalt가 부르주아지의 Gewalt를 극복할 수 있다’는 다소 역설적인 표현이, 마르크스의 폭력 개념에 내포되어 있다. 마르크스는 이 역설을 비교적 낙관적으로 다루었으나, 바로 그 역설에서 비극적인 현실을 발견할 수 있다. 마르크스는, 프롤레타리아트 독재라는 최후의 정치적 강력(强力)에 의하여 일체의 계급지배적 폭력을 비교적 단기간에 해소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폭력이 폭력을 극복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사회에 내재하는 폭력 형태의 본질을 대단히 심층적인 지점에서 인식하지 않고 폭력을 극복한다고 말할 수 없기 때문이다.. 더보기
계급투쟁과 폭력 김승국 자본주의에서 사회주의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강력한 힘은, 부르주아지의 폭력(Gewalt)을 부정한, 부르주아지의 폭력과는 질적으로 다른 정의로운 강력(强力; Gewalt)이다. 그러므로 전자(부르주아지)의 Gewalt와 후자(프롤레타리아트)의 Gewalt는 질적으로 다른 내용을 갖는다. 전자의 Gewalt가 지양된 것이 후자의 Gewalt이기 때문이다. 후자의 Gewalt는 반체제(反體制) 행위, 봉기, 내란, 화염병, 바리케이드, 파업 등으로 나타났으며, 프롤레타리아트 군대 ・인민군대 ・병사 소비에트 등의 조직으로 결집되었다. ‘부르주아 사회의 집중되고 조직화된 폭력인 국가권력’을 붕괴 시키는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강력(强力)은 ‘사회주의 ・공산주의 사회를 잉태하는 새로.. 더보기
본원적 축적과 폭력 김승국 우리는 자본주의적 생산의 계급적대성과 관련하여 화폐의 폭력 ・국가의 폭력 ・자본폭력의 연관성을 밝혔으며, 이를 통하여 마르크스가 파악한 자본주의 사회의 내재적 ・구조적 폭력관계를 규명했다. 그런데 자본주의 사회의 내재적 ・구조적 폭력이란 넓은 의미에서 자본 폭력의 형태들이다. 이와는 달리 자본의 본원적 축적기(蓄積期)의 폭력은, 자본주의 사회의 내재적 ・구조적 폭력관계의 창출을 도운 ‘원점(原點)’의 성격을 지닌다. 그러므로 본원적 축적의 자본은 넓은 의미의 자본폭력이 낳은 조산부, 전 자본주의적(前 資本主義的) 사회 구성체로부터 자본주의적 사회구성체로의 이행을 도운 과도기적 폭력이었지만, 본원적 축적기의 폭력이 조산부 역할을 마친 뒤의 폭력관계는 자본에 의한 잉여가치의 착취에 기초해 있는 ‘하나.. 더보기
초기 마르크스의 폭력 개념 김승국 1. 교통형태와 폭력 ---{독일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공동저작인 {독일 이데올로기}는, 역사를 ‘생산력과 교통 형태(교류형식; Verkehrsform)의 모순’으로 파악함으로써 사적 유물론의 출발점을 이룬다. {독일 이데올로기}의 ‘교통형태’는 단순히 인간노동의 성과인 생산물의 교환에 머물지 않고 인간활동의 교환, 개인 ―사회집단 ―모든 나라들 사이의 물질적 ・정신적 교류, 즉 성(性) ・언어 ・전쟁 ・법률 ・세계시장 ・분업 등을 포함한 ‘생산관계’개념으로 발전한다. 전쟁이 교통형태의 한 종류라고 밝힌 {독일 이데올로기}는 폭력 ・약탈 등이 역사의 추진력임을 강조하면서 ‘생산력과 교통형태의 매개항’으로 폭력(전쟁)을 상정한다. 위의 교통형태를 ‘생산관계’로 대치할 수 있다면.. 더보기
「마르크스가 본 전쟁과 평화」의 서론 김승국 1. 문제 제기 ‘폭력 ・전쟁 ・평화’는 인간의 사회생활에서 본질적인 현상이므로 사회철학적 탐구의 대상이다. 이 때문에 고대부터 수많은 철학자들이 ‘폭력 ・전쟁 ・평화’의 핵심에 접근하려고 노력했다. 특히 근대 이후에 마키아벨리(Machiavelli) ・홉스(Hobbes) ・루소(Rousseau) ・헤겔(Hegel) ・마르크스(Marx) ・프로이트(Freud) 등이 ‘폭력 ・전쟁 ・평화’에 큰 관심을 보였다. 이들 가운데서 헤겔과 마르크스는 변증법적인 시각에 따라 ‘폭력 ・전쟁’ 문제를 다룬다. 헤겔은 ‘사회적 현실이 폭력과 투쟁으로 점철되어 있음’을 모순이라는 말로 집약하고, 마르크스는 ‘계급투쟁’으로 요약한다. 사회적 현실의 변혁이란, 헤겔의 경우에는 모순의 지양이며 마르크스에 있어서는 계급투.. 더보기
제국의 핵무기에 대한 대응 Ⅰ: 문제 제기 김승국 제국(미국)의 핵무기에 대한 ‘북한 등의 사회주의권・제3세계’ 쪽 대응을 거론하기 위한 예행연습으로, 핵무기의 인식과 관련된 몇 가지 문제를 제기한다. 첫 번째 문제는, 아직도 핵보유국들이 클라우제비츠(Clausewitz)의 전쟁관(“전쟁은 다른 수단을 이용한 정치의 계속이다”)을 답습한다는 것이다. 핵무기가 등장하고 그것이 누적되어 질적으로 발전하면서 전쟁의 수단이 전쟁의 목적을 능가해버렸다. 수천 년 동안 전쟁의 목적은 평화적인 수단으로는 그 목표를 달성할 수 없는 정치를 무력수단을 통해 연장시키는 것이었다(이를 이론적으로 정립한 사람이 클라우제비츠이다). 그러나 핵무기가 등장함으로써 정치적 목표를 무력으로 달성하는 데에는 아무런 쓸모도 없는 무력수단이 생겨난 셈이다. 핵무기의 사용은 적이 자..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