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화 도시-평화 마을/평화 마을

고양시에서 평화마을 만들기와 커피 공방 뜰을 결합하는 구상

고양시에서 평화마을 만들기와 커피 공방 뜰을 결합하는 구상

 

 

김승국(평화활동가/ 커피공방 뜰의 점장)

 

 

필자는 아래와 같은 구상에 따라 [커피 공방 뜰]을 개점하여 3세계 숍(주1)으로 발전시키면서, 지역형 평화운동-평화 마을 만들기 운동의 공간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평화 마을 만들기’라는 평화운동의 새로운 모델과 커피 숍-3세계 숍을 통한 비즈니스 모델의 성공적인 결합이 성패의 열쇠이다.

 

 

이 열쇠를 열기 위한 첫 번째 시도로 [커피 공방 뜰]이라는 가게를 열었는데, 앞으로 지속적으로 실행될 구상을 아래와 같이 기술한다.

 

 

Ⅰ. 3세계 숍(커피 공방 뜰)을 통한 ‘평화 마을 만들기’의 밑그림

 

 

<그림 1; 평화 마을 만들기의 밑그림>

 

 

 

 

 

 

Ⅱ. 위의 <그림 1>을 해독하는 방법

 

 

<그림 1>의 왼쪽 줄<(2)-(4)-(6)-(9)-(12)-(15)-(18)-(21)>은, 평화 마을(1)을 조성(24)하기 위한 운동의 측면을 강조한 것이다.

 

 

<그림 1>의 오른쪽 줄<(3)-(5)-(8)-(11)-(14)-(17)-(20)-(23)>은, [커피 공방 뜰](5)-3세계 숍(3)이라는 비즈니스 공간에서 전개할 다양한 활동을 나열한 것이다.

 

 

<그림 1>의 중간에 있는 줄<(7)-(10)-(13)-(16)-(19)>은, 왼쪽 줄과 오른쪽 줄을 매개하는 역할을 한다.

 

 

지금까지 <그림 1>을 수직적으로 설명했는데 수평적으로 이해하려면, 각 행(行)의 항(項)끼리 연결하면 된다. 즉 (2)와 (3)이 횡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4)와 (5)가 횡적인 연관을 갖고 있다. (6)과 (8)을 (7)이 매개하고 있으며, (10)이 (9)와 (11)의 중간다리 역할을 한다. (12)와 (14)의 연결고리가 (13)이며, (15)와 (17)을 연결시키는 항이 (16)이다. (18)과 (20)은 (19)가 매개하며, (21)과 (23)은 상호 연관을 가진다.

 

 

Ⅲ. <그림 1>에 관한 해설

 

 

필자는 일산이라는 지역에 평화마을(1)을 만들기(2) 위하여, 고양시 일산 동구 중산동 1696번지 성도빌딩(해븐리 병원) 지하 103호에 [커피 공방 뜰](5)이라는 3세계 숍(3)을 차렸다.


 

 

[커피 공방 뜰](5)는, 필자가 생각하는 3세계 숍(3)의 첫 번째 매장이다. [커피 공방 뜰](5)은, 커피 등을 파는 커피 숍이지만 법인(8)으로 키워나가면서 3세계 숍(3)의 모습을 드러낼 것이다.


 

 

[커피 공방 뜰](5)에서는 공정무역(11) 커피와 국내의 민초들이 만들어내는 산야초 등의 상생교역(11) 상품을 취급하면서, 윤리적 소비(착한 소비)를 위한 캠페인(14)을 전개할 것이다.


 

 

[커피 공방 뜰](5)을 이용하는 분들의 대화 마당(17)을 열어, 평화마을 조성(24)의 인적 구성을 넓혀갈 것이다. 이를 위한 첫 번째 시도가 상담 카페(20)이고, 토론 카페(20)도 운용할 셈이다. 이렇게 동네 사랑방(23) 역할을 하면서 평화 마을의 조성에 매진할 계획이다.


 

 

이와 같이 평화 마을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평화마을 만들기(2)라는 전략이 중요한데, 이를 수행하기 위한 운동으로 평화마을 만들기 운동(4)이 긴요하다.


 

 

평화마을 만들기 운동을 담당할 운동단체-NGO(6)가 필요하며, 이 단체(6)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평화지향적인 마을 공동체․ 마을 만들기(9)이다.


 

 

NGO(6)와 [커피 공방 뜰](5)이라는 법인(8)을 연결시켜주는 개념으로 Association(7)이 중요하며 Association(주2) 개념에 따라 ‘평화+공동체+비즈니스’ 결합모델(10)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이 결합 모델(10)을 NGO(6)에 적용하여 평화지향적인 마을 공동체․ 마을 만들기(9)에 힘을 모으는 게 바람직하다.


 

 

이 결합 모델(10)을 [커피 공방 뜰](5)에 적용하여 3세계 숍(3)을 늘려가면서 상생 교역(11)의 폭을 넓혀가야할 것이다.


 

 

지역형 평화운동을 전개해나갈 NGO(6)는 지역 주민(마을 주민)과 함께하는 풀뿌리 평화운동(12)을 중점적으로 전개해야 하며, 이를 위한 교육(13)이 절실하다.


 

 

[커피 공방 뜰](5)의 이용자나 지역 주민들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착한 먹을거리’를 찾아나서는 윤리적 소비 캠페인(14)도 의미 있다.


 

 

위의 풀뿌리 평화운동(12)을 지역 주민들과 함께 펼치기 위해 맨 처음 착수해야 하는 일이, (지역 주민들의) 평화의 감수성 높이기(15)이다. 평화의 감수성 높이기(15)는 평화 교육(16)의 일환이며 [커피 공방 뜰](5)이라는 소통 공간(17)에서도 가능하다. (주민들의) 평화의 감수성 높이기(15) 작업이 지속되면, 주민 스스로 평화 지킴이(Peace Keeper)가 되는 평화만들기 활동(18)이 가능할 것이다.


 

 

여기에서 주민들이 평화 지킴이로서 평화 만들기 활동(18)을 전개하는 것을 뒷받침해주는 평화교육(19)이 매우 중요하다. 평화 지킴이가 되어 가는 주민들의 소통 공간(17)인 [커피 공방 뜰](5)을 상담 카페․ 토론 카페(20)로 활용하면서 (19)의 평화 교육을 병행하면 (18)을 촉진하게 될 것이다.


 

 

평화마을 만들기 운동(4)의 담지자인 NGO(6)가 나서서 풀뿌리 평화운동을 전개하는 공간을 [커피 공방 뜰](5)로 상정할 경우, 이 공간은 동네 평화운동 센터(21)의 몫을 담당하게 된다. 물론 커피 숍 이용자 등 주민들의 대화마당․ 상담 카페․ 토론 카페로 성장할 [커피 공방 뜰](5)-3세계 숍(3)은, 동네 Community Center(23)로서 주민들의 사랑을 받을 것이다.
-----------

 

<주>

 

 

(주1) 3세계 숍은 신자유주의 체제의 대안을 마을에서 모색하는 가게이다. 3세계 숍은 제3의 지대(자본주의도 왜곡된 현실사회주의도 아닌 제3의 Association을 모색하는 영역)의 민중들(제3세계의 민중 포함)과 생명평화재(生命平和財)를 중심으로 경제적인 교류를 하는 가게이다.


 

 

(주2) ‘Association’은 문맥에 따라, ‘협동하는 일’ ‘협동조합’ ‘협동생활’ ‘협동단체‘ ‘협동관계’ ‘공동조합’ ‘공동적 결합’ ‘공동사회’ ‘결합’ ‘결합사회(結合社會)’ ‘결합체’ ‘집단결합’ ‘연합’ ‘연합사회’ ‘연합체’ ‘결사(結社)’ ‘협회’ ‘조합’ ‘연대’ ‘단체’를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