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법가

고대중국의 유토피아 사상과 평화 고대중국의 유토피아 사상과 평화 김승국 禮記의 ‘大同’이 유토피아 사상의 핵심이었다. 그러나 갖가지 욕구를 가진 인간들이 섞여 사는 현실에서는 大同이 어렵기 때문에 小康사회를 최대의 목표를 설정했다(현재의 중국 지도부도 소강사회를 최대한의 목표로 상정하고 있다). 고대 중국부터 지금까지 현실적인 측면의 유토피아는 소강사회를 통한 평화가 최대강령이다. 춘추전국 시대의 소강사회론을 에워싼 유가, 도가, 묵가, 법가의 사상대립이 백가쟁명의 형태로 나타났다. 그런데 춘추전국시대는 평화지향적인 소강사회와 동떨어진 침략(타국 兼倂) 중심의 ‘以軍爲本’이었다. 以軍爲本은 진시황의 법가주의에는 맞을지 몰라도 農者天下之大本인 고대중국 사회를 역행하는 비인간적이고 天地人 조화를 상실하는 사회모순 유발의 원천이었다. 따라서.. 더보기
동양의 평화사상 개요 김승국 ‘평화’라는 용어는 원래 ‘平’과 ‘和’의 합성어이다. 중국 고대문헌 가운데 하나인 {춘추좌전}에서 ‘平’은 전쟁 등으로 빚어진 국가와 국가, 공실(公室)과 공실 사이의 원한, 증오 등으로 얽힌 불화 관계를 해소하고 우호관계를 되살린다는 뜻으로 많이 쓰였다. 그리고 ‘和’는 갖가지 사물, 사건들의 조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확대되어 쓰였다. 오늘날 중국에서 화평(和平)이라고 일컬어지고 있는 평화라는 단어는 좁은 의미로는 전쟁이 없는 상태를 가리키지만, 넓은 의미로는 사람들이 서로 화목하게 지내는 것뿐 아니라 개인과 사회 그리고 자연의 모든 사물, 사건들이 평형과 조화를 이루는 것을 뜻한다. 즉 어느 하나의 사물 또는 주장이 획일적으로 지배하면 다른 사물들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으나 다양한 사물 또는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