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화 사경 (57)-扔無敵, 執無兵
김승국 정리
用兵有言:吾不敢為主,而為客;不敢進寸,而退尺。是謂行無行;攘無臂;扔無敵;執無兵。禍莫大於輕敵,輕敵幾喪吾寶。故抗兵相加,哀者勝矣
전쟁에 대해 다음과 같은 말이 있습니다.
내 편에서 주인 노릇하는 것이 아니라 손님 노릇을 하고,
한 치 전진하려 하지 말고 오히려 한 자 정도 물러서라는 것입니다.
이를 일러 나아감이 없이 나아감,
팔이 없이 소매를 걷음,
적이 없이 쳐부숨,
무기 없이 무기잡음이라 합니다.<노자 『도덕경』 69장>
도가에서도 완전한 전쟁 기피를 권장하는 대신 어쩔 수 없을 경우에 한해 방어전을 하라고 한다. 그러나 그럴 경우에도 도의 원리인 무위의 전쟁을 수행해야 진정한 승리를 거둘 수 있다고 가르친다....전쟁을 일으키는 주체가 되지 말고 상대방에서 전쟁을 걸어 오면 어쩔 수 없이 방어전에나 참여하는 객체 입장이 되라는 말일 수도 있고, 전쟁에서 주인처럼 당당하게 주도권을 잡고 행세할 것이 아니라 남의 집에 찾아간 손님처럼 주인이 하는 데 따라 그때그때 상황에 알맞게 대처하는 정도로만 하라는 뜻일 수도 있다.
보통은 일보 후퇴 십보 전진을 가르치는데 도가에서는 반대로 일보전진 삼보후퇴를 이야기하고 있다. 조그만 진격에 매달리지 말고 쑥 뒤로 물러서라는 것이다...이렇게 전쟁에서 객이 되고 또 후퇴에 역점을 두는 것을 “나아감이 없는 나아감” “팔이 없이 소매걷음” “적이 없이 쳐부숨” “무기 없이 무기잡음”이라 한다는 것이다....자애로운 마음이 있으면 자연히 전쟁으로 인한 인명이나 재산 피해 등 전쟁의 비참함을 보고 슬퍼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므로 슬퍼하는 쪽, 즉 자애의 마음으로 전쟁에 임하는 쪽이 결국은 승리함을 이야기한다는 뜻이라 볼 수 있다. 이렇게 슬픈 마음으로 전쟁에 임해 승리를 거두면...[도덕경] 제31장에서 밝힌 대로 승리의 행진이 아니라 상례, 애절한 진혼제를 치르게 된다. 전쟁의 불가피성은 수납하지만 그 비참함을 절실히 깨달은 사람들의 행동이다. <노자 원전, 오강남 풀이 『도덕경』 (서울, 현암사, 2007) 292~295쪽>
'평화연구(이론)-평화학 > 동양의 평화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평화 사경 (59)-庖丁解牛 (0) | 2016.06.10 |
---|---|
평화 사경 (58)-兵强則不勝, 木强則折 (0) | 2016.06.04 |
평화 사경 (56)-不爭之德 (0) | 2016.06.01 |
평화 사경 (55); 堯 “我欲伐宗,膾.胥敖” (0) | 2016.05.30 |
평화 사경 (54)-天下之牝, 牝常以靜勝牡 (0) | 2016.05.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