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통관계

{정치경제학 비판 요강}의 군대 개념 김승국 마르크스(Marx)의 군대개념을 정립하기 전에, 마르크스의 폭력-전쟁 개념과의 구조적인 연관을 먼저 살펴볼 필요가 있다. 마르크스는 {정치경제학 비판 서설序說(Einleitung zur Kritik der politischen Ökonomie)}의 「경제학 구상(plan)」 속에서 ‘국가의 경제적 기능의 이중성’을 다음과 같이 파악한다: 그는 첫째로 ‘외측(外側)을 향(向)한 국가는 식민지, 외국무역, 어음교환소, 국제적 주화로서의 화폐, 세계시장과 관련이 있다. 부르주아 사회는 국가를 넘어서 확장한다. 그리고 공황, 교환가치에 입각한 생산양식 ・사회형태의 해체, 개인적 노동을 사회적 노동으로서 또 그 반대로 현실적으로 조정하는 것’을 거론한다. 둘째로 내측(內側)을 향한 국가로서 국가와 부르주아.. 더보기
마르크스의 고대 ・중세의 전쟁에 대한 평가 김승국 만약 우리가 {序說(정치경제학 비판 서설)} 그 자체의 원문으로 돌아간다면 우리는 실제로 ‘사회구성체’와 그 ‘경제적 토대’ 또는 ‘경제적 구조(Struktur)’ 사이의 관계에 대한 해명, 즉 생산양식의 연구를 통해 구성된 해부학을 발견하는 것이다. 사회구성체는 제 계급 간의 제1의 ‘모순’의 장으로서, 그것을 마르크스는 투쟁 ・전쟁 ・대립이라는 용어로 표현했다. 그 ‘모순’은 ‘한마디로 억압자와 피억압자’({공산당 선언})로 이루어지며 ‘때로는 공개적일 수도 있고 때로는 은폐되기도’ 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그것은 마르크스가 용어법에 이르기까지 제1의 모순과 혼동하지 않도록 항상 주의를 기울인 제2의 ‘모순’ 형태와 관련된다. 그는 제2의 ‘모순’ 형태를 ‘적대(antagonism)’라고 부르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