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화연구(이론)-평화학/동양의 평화이론

평화 사경 (73)-保合大和 乃利貞

평화 사경 (73)-保合大和 乃利貞

 

김승국 정리

 



保合大和 乃利貞은 주역 괘의 괘사인 元亨利貞利貞에 해당되는 단사(彖辭; 彖傳의 내용)이다.

 

元亨利貞는 대체로 두 가지 방향으로 해석된다. 하나는 이익이라는 뜻으로, 다른 하나는 의 뜻으로 풀이한다. 그런데 중국어에서 가 워낙 다양하게 사용되어 保合大和太和-沖和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다.< 金景芳呂紹綱 지음, 안유경 역주 周易全解(서울, 심산출판사, 2013) 71>

 

이와 달리 영어의 peace(평화)에 좀 가까운 해석을 한 왕필(王弼) 도 있다; 왕필은 保合大和을 주석하면서 不和而剛暴이라고 표현하면서 剛暴을 끌어들인 점이 돋보인다. ‘剛暴이 현대 평화학사회학의 폭력론(요한 갈퉁의 구조적 폭력론 포함)과 접점이 되는 부분이 있는지 잘 모르겠지만 不和剛暴을 연결시킨 점이 주목을 끈다.

 

그런데 왕필의 不和而剛暴이 문법에 맞지 않아 和而不剛暴로 바꾸어 해석하여야 의미가 통한다고 보는 견해도 있다; [주역의] 古本足利本漢文大系本에는 不和而剛則暴也라고 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는 하지 않고 하면 포악한 것이다라고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王弼韓康伯 注, 孔穎達 疏, 成百曉 譯 周易正義 1(서울, 전통문화연구회, 2014) 138~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