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평화연구(이론)-평화학/동양의 평화이론

평화 사경 (94)-克己復禮

평화 사경 (94)-克己復禮

 

김승국 정리

 

 

유학의 경전에 자주 출현하는 克己復禮을 일반적으로 自己, 自身으로 번역하는데 이는 단순한 해석인듯하다.

 

필자가 보기에 계급(君子) 자신=君子自己로 보아야하지 않을까? [勞心者(정신노동, 통치하는 행위에 주력하는 지배층)이 도덕력을 높이기 위한 修養 주체인 自己]로 보는 것이 좋을 듯하다. ‘勞力者자신(자기, )’을 의미하지 않을 것으로 보아야하지 않을까요? 봉건시대에 고통스럽게 죽도록 일만하여 살아간 (勞力者)이 자기()를 수양하며 克己할 여유가 있었을까요?

----------

----------

<封建制>춘추전국이라는 난세를 당하여 의 권위는 실추되고 약육강식의 兼倂전쟁으로 수많은 소국은 대국에 겸병되었으며 五覇七雄이 천하를 지배하게 되었다. 이에 공자는 난세를 종식시키기 위해 겸병전쟁을 중지하고 周初諸侯國들의 聯邦制로 돌아갈 것을 호소한 것이 바로 反覇道 王道主義였고 <克己復禮>는 이를 위한 캐치프레이즈였던 것이다. “克己復禮란 자기를 극복하고 周禮로 돌아가는 것이 이라고 말한 것으로 바로 王道主義를 수호하기 위한 강령이었다.<출처; 기세춘 동양고전 바로 읽기46>

 

(論語/陽貨25):

공자께서 이르셨다. 子曰

여자와 민중은 교화하기 어렵다고들 한다. 唯女子小人 爲難養也 *=治也 敎也.

가까이하면 불손하고, 멀리하면 원망한다. 近之則不孫 遠之則怨.

*小人=여기서는 패도주의 관료인 小人儒가 아니라 勞力者을 지칭함

<출처; 기세춘 동양고전 바로 읽기46~47>

 

(論語/憲問44):

자로가 君子(官長)에 대해 물었다. 子路問君子 *君子=官長을 지칭함

공자: 자기를 수양하여 공경스럽고, 子曰 修己以敬 *=猶而也. 至也 及也 爲也

자기를 수양하여 (人君大人)들을 편안하게 한다. 修己以安人 *=百姓보다 상위계급.

*옛 중국 학자들은 朋友九族으로 해석했다.

*百姓(호족)보다 지위가 높은 성인 대인 귀인 등 인계급을 지칭한다.

<출처; 기세춘 동양고전 바로 읽기56>

 

 

百姓이란 용어의 용례를 살펴보자. 자로가 君子(고위공직자)에 대해 묻자 군자는 修己하여 공경스러워야 한다고 대답했다. 그러자 자로가 그것이면 다 됩니까?” 라고 되묻자 군자는 安人해야 하며, 더 나아가 安百姓하라고 대답했다. 이 때 百姓을 구분하여 말했는데 支配階級을 뜻하고 百姓중에서 으로부터 姓氏를 하사받은 소수의 호족세력을 지칭한 것이다. <출처; 기세춘 동양고전 바로 읽기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