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ID 프로그램 썸네일형 리스트형 한반도의 평화를 위한 북한 발전 모델 김승국 Ⅰ. 개발 ․ 발전 패러다임 武者小路公秀가 「現代における開發と發展の諸問題」라는 논문에서 밝힌 개발․발전 패러다임을 아래와 같이 요약하면서 해설을 곁들인다. 1. 근대화 패러다임 1950년대 이후에 풍미했던 근대화 패러다임의 기본적인 특색은, 개발․ 공업화․근대화와 서구화를 동일한 가치로 보는 데 있다. 이러한 근대화 패러다임은 다음과 같은 전제 아래 성립된 것이다. ① 개발은, 공업화․기술의 진보에 의한 생산력의 증대가 만들어 낸 경제성장에 다름 아니다. 이러한 사고방식은 기술진보에 대한 무조건의 신뢰를 불러일으키는 한편 개발을 국민총생산(GNP)과 같은 경제적인 지표로 받아들이는 개발관을 초래했다. ② ‘개발=공업화’는, 어떤 사회이든지 서구와 동일한 발전단계를 경과한다는 ‘개발경로의 단일성’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