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요임금

攻과 誅 攻과 誅『墨子』 「非攻下」의 ‘苗族 誅罰’ 비판 김승국(평화 만들기 대표) 묵자의 반전평화 사상이 가장 두드러지는 「非攻下」편에 ‘묘족 주벌(苗族 誅罰)’에 관한 글(아래의 원문)이 실려 있다. 이 원문의 요점은 ‘非所謂攻 謂誅’이다. ‘非所謂攻 謂誅’을 중심으로 ① 誅罰의 정당성 ② 誅罰의 조건 ③ 苗族 정벌이 誅罰의 조건에 합당한지의 여부 ④ 묵자의 ‘苗族 誅罰 변호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非攻下」편을 다시 살펴보는 것이 이 논문의 主旨이다. 아래의 첨부파일을 열면 이 글의 전체 내용을 읽을 수 있습니다. 더보기
誅, 誅伐 뜻풀이 誅 誅伐 뜻풀이 1. 꾸짖다, 질책하다.2. 징벌하다. 처벌하다.* 而聖人之治國也, 賞不加於無功, 而誅必行於有罪者也.(『韓非子』 「姦劫弒臣」) 4* 以足蹙路馬芻, 有誅. 齒路馬, 有誅. (『禮記』 「曲禮上」) 78 誅=罰3. 토벌하다.* 吾聞之曰: “大國道, 小國襲焉曰服. 小國傲, 大國襲焉曰誅.” (『國語』 晉語二」)내가 듣건대 ‘대국에 도의가 있어 소국이 조공 차 대국으로 들어가는 것을 신복(臣服)이라 한다. 소국이 오만하여 대국이 쳐들어가는 것을 주벌(誅罰)이라 한다’고 했습니다.* 王者有誅而無戰, 城守不攻, 兵格不擊 (『荀子』 「議兵」) 16* 彼王者則不然: 致賢而能以救不肖, 致彊而能以寬弱, 戰必能殆之而羞與之鬥, 委然成文, 以示之天下, 而暴國安自化矣. 有災繆者, 然後誅之. 故聖王之誅也綦省矣. 文王誅.. 더보기
평화 사경 (5) 김승국(평화만들기 대표) 더보기
동양문헌 속의 ‘평화’ (5)-성군도 전쟁을 피하지 못했나? 동양문헌 속의 ‘평화’ (5)-성군도 전쟁을 피하지 못했나? 김승국(평화만들기 대표) 위는, 『莊子』「人間世」의 문구이며 우리말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옛날에 요(堯)왕은 총지(叢枝)국과 서오(胥敖)국을 공격하였고 우(禹)왕은 유호(有扈)국을 공격하여 나라를 폐허로 만들고 왕을 악귀가 되게 하였으며 몸소 형벌로 그들을 죽였으며, 그는 병사 쓰기를 그치지 않았다.” -------- 필자의 견해 중국 고대의 성군이라고 일컬어지는 요임금과 우임금마저 전쟁을 피하지 못한 사정이 무엇이었는지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위의 문구의 맥락으로 보면 요임금이 몸소 살육을 조종한 듯하다. 마지못해 전쟁에 임한 것이 아니라 살육전쟁을 막후조종했다면 살인군주가 아닌가? 그런데 어떻게 해서 성스러운 임금(聖君)으로 떠받들어.. 더보기
동양문헌 속의 ‘평화’ (2)-요임금도 다른 나라를 정벌하려는 집념이 강했다 동양문헌 속의 ‘평화’ (2) 요임금도 다른 나라를 정벌하려는 집념이 강했다 김승국(평화활동가) 장자(莊子)가 지은『莊子』「제물론(齊物論)」에 아래와 같은 문장이 나온다; 故昔者堯問於舜曰:「我欲伐宗、膾、胥敖,南面而不釋然。其故何也?」舜曰:「夫三子者,猶存乎蓬艾之間。若不釋然,何哉?昔者十日並出,萬物皆照,而況德之進乎日者乎!」 위의 문장을 우리말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다; 옛날에 요임금이 순(순임금)에게 물었다. “내가 소국인 종(宗)과 회(膾), 서오(胥敖) 나라를 정벌하고자 남면(南面)하였지만 마음이 석연치 않네. 그 세 나라가 나의 통치에 따르지 않으니 어찌된 일인가?” 순임금이 이렇게 대답했다. “그 세 나라는 쑥대밭 사이에 있는(발달하지 못한)’ 후진국인데 신경 쓸 필요가 이디에 있겠습니까? 옛날에 열 개의.. 더보기